썸네일 이미지
티스토리) 예약 발행 방법 먼저 글 쓰기의 완료를 누르면 발행이 뜹니다. 발행일을 현재 -> 예약으로 변경시 예약할수 있는 날짜가 뜹니다. 이 글은 포럼의 질문글을 보고 작성되었습니다. 새로운 글쓰기에서 예약발행 안되나요? 이게 되어야 참 편할거 같은데 혹시 있다면 방법을 문의합니다.
검색엔진) 워드프레스는 저품질이 없다고? 티스토리와 비교! 한 유튜버가 티스토리는 저품질이라는것에 걸릴수 있고 워드프레스는 저품질에 걸릴수 없다고 말했다. 여기서 저품질은? 대체로 가치가 없는 글으로 검색엔진이 판단하여 노출량을 줄이는 현상을 의미한다. 또 티스토리는 다음에만 검색이 최적화 되어있고 다음은 가까운 시일내 작성글을 우선으로 보여주어 가치가 덜하고 워드프레스는 구글에 최적화 되어 언제나 한번 상단에 오르면 꾸준히 유지된다고 말하였다. 과연? 또 티스토리는 다음에만 검색이 최적화 되어있고 다음은 *(가까운 시일내 작성글을 우선)으로 보여주어 가치가 덜하고 워드프레스는 구글에 최적화 되어 언제나 **(한번 상단에 오르면 꾸준히 유지)된다고 말하였다. 빨간색 : 잘못된 정보, 다음은 기본으로 되어있고 구글과 네이버도 최적화 가능하다. * : 우선적으로 최..
뒤늦게 쓰는 "의학채널 비온뒤" 구독해제 이유 구독은 "의학채널 비온뒤" - "이국종" 이국종 교수님 영상을 보고 구독하긴 했다. 어쩌다 보니 구독을 했었다. 구독취소사유는 "의학채널 비온뒤" - 일본 방사능 편 이었다.구독취소한지는 오래 됐는데 요즘 이슈인 일본과 연관되어 기억이 나서 적는다. 당시에는 블로그를 하던 중이 아니라 조용히 구독취소만 했었다. 의학전문기자임에도 체크를 하지 않고, 영상 만든 PD는 반대의견을 다는 여러 사람들을 조롱하던 태도를 보니 웃겼다. 영상이 업로드 된지 며칠이 지나서 봤었는데 오래됐는데도 기억에 남는게 웃긴게 많았다(안 좋은쪽으로)지금은 문제될만한 PD와 사람들간의 댓글들이 모두 삭제된 상태그 상황이 웃겨서 상황이 웃기다고 쓴 내 댓글도 삭제되었다.취소를 한 결정적 계기는 패턴에서 가짜뉴스 유포와 동일한 프로세스..
썸네일 이미지
크롬) https://www 부터~ 주소 전부 보이기 언제부터인가 크롬에서 https:// 와 www 부분이 생략되었다. 위의 사진과 같이 크롬은 현재 https://www.naver.com 이라는 주소를 naver.com 으로만 표기한다. http 주소면 -> 주의 요함 표시가 뜨고 https 주소면 -> 생략되는 정책을 가진다. 근데 제 경우 주소 수정을 자주 하는데 클릭하면 확장된 원본 주소가 나와서 굉장히 불편하다. 최신버전 해결방법 아주 간단합니다. 크롬 주소창에서 우클릭을 하신후 "항상 전체 URL 표시"를 클릭하셔서 활성화 하시면 됩니다. 제 경우 주소창을 자주 직접 입력해서 모두 표시해두는게 편한데, 크롬 기본설정이 주로 사용되지 않는 부분을 안보이게 만들어 불편했는데. 간단하게 설정이 가능합니다. 구 버전(크롬 76 이하) 해결법은? 1. ..
트위치 클립 모음 유튜브와 저작권 다른사람의 저작물(노래/영상 등)과 섞이지 않는 이상 트위치 클립의 저작권은 거의 트위치 스트리머에게 있다. 그런데 트위치 클립 모음을 올리는 유튜브들이 있다. 저작권은 스트리머에게 있는데 어떻게 이런 유튜브들이 운영될 수 있는가? 바로 소속사에서 운영하기 때문 샌드박스 네트워크 트박스 https://www.youtube.com/channel/UCGNCf6ibX1HWndVRgiChpqw/about 소속사인 샌드박스 네트워크가 소속 크리에이터 영상만 편집해서 올린다. 콜랩 트수인생 https://www.youtube.com/channel/UCQLKGhGS9c606WR-QeHH69g/about 도미새 https://www.youtube.com/channel/UC0aPTezKC0S-31ohJvi-suw/abo..
썸네일 이미지
한국시각 2019/07/23 00:46 깃허브가 멈췄다.. 깃허브는 오픈소스 플랫폼으로 글로벌 서비스인만큼 트래픽도 어마하고 무료로 제공됨에 매우 감사한 서비스이다. 오늘 깃허브 장애가 발생했다. 상태를 보면 당애를 일으킨 목록은 다음과 같다. 깃 api 프로젝트 관련 기스트 ㅠㅠ 얼른 정상화 되길 한국시각 2019/07/23 01:02 장애 알림 완전히 나갔다.. 한국시각 2019/07/23 01:13 복구됨 현재 degrade 상태
XSS 누구의 문제로 발생한 보안 문제일까? XSS의 문제를 사용자에게로 떠넘기는 사이트들이 있어 이 글을 작성한다. XSS는 서버 운영자의 실력만으로 원천 차단이 가능하다. 정말 뚫기 어려우면서 뚫기 제일 쉬운게 홈페이지 보안이다. 신경을 쓰면 못뚫는 수준까지 가능하고 신경을 안쓰면 그냥 뚫리는게 홈페이지(사이트) 다. 그중 XSS는 간단한 보안 문제로 아주 간단한 보안 규칙을 지키지 않아서 발생한다. 서버가 사용자의 입력을 필터링하지 않아 생기는 문제로 전적으로 서버 운영측 책임이다.
썸네일 이미지
오류) System.Net.WebException: 원격 서버에 연결할 수 없습니다. 오류 알아보기 자세히를 눌러보면 아래와 같이 나오고 System.Net.WebException: 원격 서버에 연결할 수 없습니다. ---> System.Net.Sockets.SocketException: 연결된 구성원으로부터 응답이 없어 연결하지 못했거나, 호스트로부터 응답이 없어 연결이 끊어졌습니다 0.0.0.0:80 "호스트로부터 응답이 없어 연결이 끊어졌습니다" 라는말 이후에 접속하려 했던 ip가 나온다. 이 문제는 해당 ip로 접속이 실패시에 나타난오류로 인터넷이 불안정하거나 서버가 불안정할때 나타날수 있다. 문제가 "원격 서버에 연결할 수 없습니다" 라고 표시되어 어? 이거 원격 조종이야? 겁낼 필요가 없다. 대부분은 간단한 인터넷 접속인 경우가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