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인터넷에 맞는 DNS를 결정하는 방법

카테고리 : 소개/IT 상식

DNS는 IP와 도메인(domain)을 매칭시켜주는 서비스입니다.

 

예를들어 naver.com에 접속하려하면,

  1. 먼저 DNS에 naver.com의 위치를 질문하고
  2. 223.130.195.200라는 IP주소를 받아와 접속할 수 있습니다.

 

다양한 DNS를 사용할 수 있으며, 기본적으로는 KT, SKT, LG등 통신사의 DNS를 사용하게 됩니다.

이외에도 Google, CloudFlare, AdGuard DNS, Cisco OpenDNS, IBM Quad9등 다양한 DNS가 있습니다.

 

이중에는 일부 사이트 차단기능을 포함하는 DNS도 있습니다.

예를들어 차단하려는 example.com에 접속할때 DNS가 IP주소를 알려주지 않는다면, 접속할 수 없다는 점을 이용해서 차단하는 방식입니다.

이걸 악용한다면, naver.com, google.com등 유명 사이트를 피싱서버로 연결할수도 있습니다.

때문에 증명된 서비스만 이용하시고, 잘 모르겠다면, 기본값(통신사 DNS)을 그대로 사용하시길 권장드립니다.

 

윈도우PC에서는 이 글에서 설명하는 방식으로 DNS를 결정하는데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다른 OS에서는 traceroute등 다른 명령어를 사용해야됩니다.

 

아무런 이유없이 단지 Google DNS, CloudFlare등 별도의 DNS가 좋다고 바꾼사람이 있으시다면, 이 글을 꼭 읽어보시고 테스트 해보시기바랍니다.

 

이 글은 전문가가 아닌 일반인을 대상으로 설명하고자 작성한 글로 쉽게 풀이하여 작성하고자 하였습니다.
혹시나 이해가 안되는 부분이 있으시다면 댓글로 문의해주셔도 됩니다.

 

 

통신 지연 확인하기

대부분의 서버는 광케이블로 연결되어있기 때문에 지연시간은 보통 물리적인 거리에 영향을 받습니다.

  • 한국서버와 한국에 위치한 가정용 광케이블(FTTH, 100Mbps~10Gbps 회선)은 보통 20ms(0.02초)이하로 지연속도가 나옵니다.
  • 미국서버와 한국은 대략 100ms(0.1초)~500ms(0.5초)정도 지연이 됩니다.
  • 홍콩이나 싱가폴 서버와는 대략 50ms(0.05초)~300ms(0.3초)정도 지연이 됩니다.
위의 예시 지연시간은 광케이블 회선 기준으로, 사용중이신 회선에 따라 다를 수 있음.

 

 

지연시간을 테스트 해보겠습니다.

먼저,명령 프롬프트(CMD)를 열어줍니다. 윈도우 내장 검색창에 cmd를 검색하시면 열 수 있습니다.

 

 

KT DNS

KT의 DNS주소인 168.126.63.1을 확인합니다.

tracert 168.126.63.1

KT DNS와 traceroute(tracert)

tracert 명령어를 이용하면, 통신 경로상 거치는 라우터(* 통신의 중간 매개장치)와 통신시간이 나타나게 됩니다.

 

이중에서 한줄을 다 더해보면 1+2+1+1+2 = 7ms가 됩니다.

* 표시는 응답을 거부한 라우터로 알수없는 데이터입니다.

때문에 7ms 이상 걸렸음을 알 수 있습니다.

 

빨간색 박스 옆에 2건의 추가 결과도 있으니 평균치를 사용하셔도 됩니다.

 

당연히 사용중인 통신사의 인터넷망을 통해 DNS에 접근하기 때문에 통신사 망을 사용하는게 제일 빠를가능성이 큽니다.

 

 

CloudFlare DNS

CloudFlare의 DNS주소인 1.1.1.1을 확인합니다.

tracert 1.1.1.1

이번에는 대략 1+1+1+2+2+3+2 = 12ms 이상으로 나온것을 확인가능합니다.

위의 KT DNS와 저는 5ms정도 차이가 났지만 이 정도는 오차범위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제가 KT를 사용중이기 때문에 중간에 거치는 라우터의 IP조회시 KT장비임도 알 수 있습니다.

 

 

 

Google DNS

구글의 DNS 서버주소인 8.8.8.8을 확인해봅니다.

tracert 8.8.8.8

구글 DNS는 1+3+1+3+1+32+32+31+36 = 140ms 이상이라는 위의 예시들과는 다르게 10배 이상 오래걸리는것을 확인가능합니다.

 

제가 한국에 서비스할 때 Google에서 제공하는 대부분의 기능(Google Font, Google CDN 등)을 안쓰는편인데 이유가 여기에 있습니다.

한국에서 구글 접속시 대부분 한국서버가 아닌 싱가포르 또는 홍콩등으로 연결됩니다.

 

이외에도 다양한 DNS서비스들이 있고, 지연시간이 적은 DNS를 사용하는것이 웹 사이트 등 서버 접속시 속도향상에 도움이 됩니다.

물론 0.1초가 체감이 안될수도 있으나, 굳이 DNS를 바꿔서 느리게 사용할 필요는 없을것입니다.

 

 

한국의 통신사 DNS별 기본 주소

아래는 한국의 통신사 DNS별 주소입니다. 위의 tracert 명령어를 이용해 테스트 해보실 수 있습니다.

서버이름 주소
KT DNS 기본 168.126.63.1
보조 168.126.63.2
SK Broadband 기본 210.220.163.82
보조 219.250.36.130
LG U+ 기본 164.124.101.2
보조 203.248.252.2

 

 

왜 지연시간이 적은 DNS를 선택해야되나요?

DNS는 도메인에 접속하기전 무조건 거치는 서버입니다.

 

특정 도메인(예 google.com)에 접속전 0.01초 딜레이와 0.1초 딜레이는 차이가 있습니다.

만약 다른사이트 접속시 위의 예시처럼 불필요한 지연이 된다면 어떨까요?

체감이 안될수는 있으나, 비효율적인 방식을 사용할 필요는 없다고 봅니다.

 

각 DNS 서버끼리는 서로의 정보를 공유해서 없는것을 맞추게 되어있기 때문에 DNS별 결과 차이는 거의 없습니다.

(도메인을 최초 등록시 등록한 DNS와 공유되지 않아 차이 있을 수 있으나 고려대상 아님)

 

같은 결과를 위해 굳이 멀리있는 서버에 요청할 필요없이 가까이 위치한 서버를 사용하면 됩니다.

결론 : DNS를 굳이 바꾸지 말고 통신사 DNS를 사용하라, 또는 빠른 지연시간의 DNS를 사용하라.

 

저작권 보호안내
무단 전재, 재배포 행위는 금지됩니다. (글을 복사하여 게시금지)
본문의 일부(링크용 문장) 인용은 가능하지만, 출처와 링크(a 태그)를 남기셔야 됩니다.
(웹툴을 이용하고, 스크린샷/녹화하는것은 상관없습니다.)

예외적으로. 저에게 허락받은 경우에는 본문을 전재할 수 있습니다.

만약, 본문 공유를 원하신다면 링크 공유를 해주세요

저작권 정책 확인하기
링크 공유하기

 댓글